2025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얼마? 가구별 최대 지급액 비교

안녕하세요. 소득은 있지만 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정부가 직접 현금을 지원해주는 대표적인 제도인 근로장려금, 매년 신청할 수 있다는 건 알고 계셨나요?

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보면
“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지?”
“단독가구는 얼마, 맞벌이 가구는 얼마야?”
이런 궁금증이 생기곤 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장려금의 가구별 최대 지급 금액을 기준으로, 내가 받을 수 있는 대략적인 금액, 그리고 감액 기준과 계산 방식까지 꼼꼼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. 근로장려금 지급액 함께 알아보아요

근로장려금 지급액


근로장려금이란?

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은 가구에게
정부가 연 최대 330만 원까지 현금으로 직접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지원 대상은 크게

  • 근로소득자
  • 사업소득자
  • 종교인소득자
    로 나뉘며, 지급 금액은 가구 유형, 총소득, 재산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근로장려금 지급 기준 요약

근로장려금은 다음 세 가지 조건에 따라 지급 금액이 결정됩니다.

  1. 가구 유형 (단독 / 홑벌이 / 맞벌이)
  2. 총소득 (2024년 귀속 소득)
  3. 재산 기준 (2024년 6월 1일 기준)

이 세 가지 중 하나라도 기준에서 벗어나면 감액되거나 지급 제외될 수 있으므로,
단순히 ‘내가 받을 수 있을까?’보다
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’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액 (가구별 최대 지급액)

2025년 기준,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
가구 유형최대 지급액
단독가구150만 원
홑벌이 가구260만 원
맞벌이 가구330만 원

단독가구

  • 배우자, 자녀, 부모가 없는 1인 가구
  • 소득이 4,200만 원 미만일 경우 신청 가능
  • 재산이 2억 4천만 원 이하일 경우 지급
  • 최대 150만 원까지 지급 가능

홑벌이 가구

  • 배우자는 있으나 소득이 없거나 300만 원 미만
  • 또는 자녀(만 18세 미만) 또는 부양 부모가 있는 경우
  • 총소득 7,000만 원 미만이어야 신청 가능
  • 최대 260만 원까지 지급 가능

맞벌이 가구

  • 본인과 배우자 모두 일정 소득이 있음
  • 배우자 소득이 300만 원 이상일 경우 맞벌이로 분류
  • 총소득 8,000만 원 미만이면 신청 가능
  • 최대 330만 원까지 지급 가능


지급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

근로장려금은 단순히 “가구 유형별 최대 금액”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.
총소득과 재산이 기준에 가까울수록 실제 지급액은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

감액구간 설명:

  • 소득이 적을수록 지급액은 많음 (점점 커지다가)
  • 일정 소득 이상부터는 지급액이 점점 줄어듦 (감액 구간)
  • 재산이 1억 7천만 원을 초과하면 지급액이 감액되고
  • 재산이 2억 4천만 원 초과 시 지급 대상 제외

즉, 아래에 가까운 사람일수록 많이 받습니다:

✅ 소득은 적고
✅ 재산도 적고
✅ 맞벌이 또는 자녀가 있는 경우


예시로 보는 지급액 추정

  1. 30세 미혼 근로자, 연소득 2,000만 원, 재산 5천만 원 → 단독가구
    → 예상 지급액: 약 120~140만 원
  2. 부양 자녀 1명, 배우자 무직, 연소득 3,200만 원 → 홑벌이 가구
    → 예상 지급액: 약 220~250만 원
  3. 맞벌이 부부, 자녀 2명, 연소득 4,000만 원 + 3,000만 원 → 맞벌이 가구
    → 예상 지급액: 약 300~330만 원

감액 기준 정리

재산 감액 기준

  • 재산 1억 7천만 원 초과 시: 감액 적용
  • 재산 2억 4천만 원 초과 시: 지급 불가

소득 감액 기준

  • 각 가구 유형별 정상 구간을 넘는 순간부터 점진적 감액
  • 단독가구: 2,200만 원~4,200만 원 사이 감액
  • 홑벌이 가구: 3,200만 원~7,000만 원 사이 감액
  • 맞벌이 가구: 3,800만 원~8,000만 원 사이 감액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나는 단독가구인데 꼭 150만 원 다 받을 수 있나요?
→ 아닙니다. 소득이 많거나 재산이 많으면 감액 적용됩니다.

Q2. 소득이 거의 없으면 무조건 최대 지급액인가요?
→ 그렇지 않습니다. 소득이 너무 낮아도 지급액이 적을 수 있습니다. 가장 많은 금액은 중간 수준의 소득에서 나옵니다.

Q3. 재산은 어디까지 포함되나요?
→ 부동산, 전세보증금, 차량, 예금, 적금, 보험, 주식 등 모두 포함됩니다.

Q4. 맞벌이인데 배우자 소득이 100만 원이에요. 무슨 가구 유형인가요?
→ 배우자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면 홑벌이 가구로 분류됩니다.

Q5. 자녀가 성인이 되었는데, 자녀장려금은 못 받나요?
→ 네. 자녀장려금은 만 18세 이하 또는 장애 자녀만 인정됩니다.

Q6. 소득이 많아지면 지급액은 점점 줄어드나요?
→ 맞습니다. 일정 기준 이상부터는 감액 구간에 진입해 지급액이 줄어듭니다.

Q7. 재산이 많으면 무조건 못 받나요?
→ 1억 7천만 원을 넘으면 감액되고, 2억 4천만 원을 넘으면 전액 지급 불가입니다.

Q8. 올해 수입이 줄었는데 작년 기준으로 신청하나요?
→ 근로장려금은 전년도 소득 기준으로 판단됩니다. 2025년 신청은 2024년 소득이 기준입니다.

Q9. 반기신청하면 지급액이 줄어드나요?
→ 네. 반기신청은 반기 소득 기준으로 계산되어 정기신청보다 적게 나올 수 있습니다.

Q10. 얼마 받을 수 있는지 미리 알 수 있나요?
→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 기능을 이용하시면 예상 지급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Leave a Comment